추가[리스트, 대상]: 리스트에 대상을 추가합니다.
예:
추가[{1, 2, 3},
(5, 5)] 는 {1, 2,
3, (5, 5)}를 나타냅니다.
추가[대상, 리스트]:
대상에 리스트를 추가합니다.
예:
추가[(5, 5),
{1, 2, 3}] 는 {(5,
5), 1, 2, 3}를 나타냅니다.
조건세기[조건, 리스트]:
조건에 맞는 원소의 개수를 나타냅니다.
예:
조건세기[x
< 3, {1, 2, 3, 4, 5}] 는 숫자 2를 나타냅니다.
조건세기[x<3,
A1:A10] 는 스프레드시트에서 셀범위A1:A10 의 3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셀의 개수를 나타냅니다.
원소[리스트, 숫자 n]: 리스트의 n번째 원소를 나타냅니다.
주:
리스트는 같은 형태(예. 숫자 또는 점 등)의 대상의 원소만 포함할 수 있습니다.
첫항[리스트]: 리스트의 첫 항을 나타냅니다.
첫항[리스트, 원소의 개수 n]: 리스트의 처음 n번째 원소까지 포함하는 새로운 리스트를 만듭니다.
포함[대상, 리스트, 위치]: 주어진 점에서 리스트에 대상을 포함시킵니다.
예: 포함[x^2,
{1, 2, 3, 4, 5}, 3] 는 x2을 리스트의 3번째 위치에 포함시켜 {1, 2, x2, 3, 4, 5}를 나타냅니다.
주:
위치가 음수라면, 오른쪽부터 셉니다.
예:
포함[(1,
2), {1, 2, 3, 4, 5}, -1] 는 리스트의 끝에서부터 세어 {1, 2, 3, 4, 5, (1, 2)}를 나타냅니다.
포함[리스트 1, 리스트 2, 위치]: 리스트2의 주어진 위치에 리스트1의 모든 원소를 포함시킵니다.
예:
포함[{11,
12}, {1, 2, 3, 4, 5}, 3] 는 리스트1의 모든 원소를 리스트2의 3번째 위치부터 포함시켜 {1, 2, 11, 12, 3, 4, 5}를 나타냅니다.
주:
위치가 음수라면, 오른쪽부터 셉니다.
예:
포함[{11,
12}, {1, 2, 3, 4, 5}, -2] 은 리스트2의 끝에서부터 세어 {1, 2, 3, 4, 11, 12, 5}를 나타냅니다.
공통부분[리스트 1, 리스트 2]: 두 리스트에 모두 포함되어 있는 부분을 새로운 리스트로 만듭니다.
반복리스트[함수, 수 x0, 수 n]:
초기값 x0에서 시작하여 함수에 반복하여 대입한 길이가 n+1인 리스트를 나타냅니다.
예:
f(x)
= x^2 를 정의하고, L = 반복리스트[f, 3, 2]
라고 하면 L = {3, 32, (32)2}
= {3, 9, 81}을 나타냅니다.
연결[리스트 1, 리스트 2, ...]:
2개(이상)의 리스트를 연결합니다.
주:
서로 같은 리스트라 할지라도 리스트의 모든 원소를 포함하는 새로운 리스트를 만듭니다. 새로운 리스트는 순서가 새로 정렬되지 않습니다.
예:
Join[{5,
4, 3}, {1, 2, 3}] 는 리스트
{5, 4, 3, 1, 2, 3}를 만듭니다.
연결[리스트의 리스트]:
리스트 안에 더 작은 리스트를 연결시킵니다.
주:
서로 같은 리스트라 할지라도 리스트의 모든 원소를 포함하는 새로운 리스트를 만듭니다. 새로운 리스트는 순서가 새로 정렬되지 않습니다.
예:
연결[{{1, 2}}]
은 리스트 {1, 2}를 만듭니다.
연결[{{1, 2,
3}, {3, 4}, {8, 7}}] 은 리스트 {1, 2, 3, 3, 4, 8, 7}를 만듭니다.
유지조건[조건, 리스트]:
조건을 만족시키는 원소들만으로 새로운 리스트를 만듭니다.
예:
유지조건[x<3,
{1, 2, 3, 4, 1, 5, 6}] 은 새로운 리스트 {1, 2, 1}를 나타냅니다.
끝항[리스트]: 리스트의 마지막 원소를 나타냅니다.
끝항[리스트, 원소의 개수 n]: 리스트의 마지막 n개의 원소의 리스트를 나타냅니다.
길이[리스트]: 리스트의 원소의 개수인, 리스트의 길이를 나타냅니다.
최솟값[리스트]:
리스트의 최솟값인 원소를 나타냅니다.
최댓값[리스트]:
리스트의 최댓값의 원소를 나타냅니다.
곱[수의 리스트]: 리스트의 모든 수의 곱을 계산합니다.
미정의삭제[리스트]:
리스트에서 미정의된 대상을 삭제합니다.
예:
미정의삭제[수열[(-1)^i,
i, -3, -1, 0.5]] 은 정수가 아닌 지수를 갖지 않으므로 두번째와 네번째 원소가 정의되지 않아 제거됩니다.
역순[리스트]: 리스트의 순서를 역으로 배열합니다.
수열[관계식, 변수 i, 수 a, 수 b]: 주어진 관계식과 인덱스 i를 이용하여 주어진 범위인 a에서 b까지의 대상의 리스트를 나타냅니다.
예:
L = 수열[(2, i), i, 1, 5] 은 y좌표를 1에서 5까지 리스트를 만듭니다.
수열[관계식, 변수 i, 수 a, 수 b, 증가분]:
주어진 관계식과 인덱스 i를 이용하여 주어진 범위인 a에서 b까지 주어진 증가분으로 증가시켜 대상의 리스트를 나타냅니다.
예:
L = 수열[(2, i), i, 1, 5, 0.5]
은 y좌표가 1에서 5까지, 0.5씩 증가하여 리스트를 만듭니다.
주: 변수 a와 b는 변할 수 있기 때문에, 슬라이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정렬[리스트]:
수, 텍스트, 점의 리스트를 정렬합니다.
주:
점의 리스트는 x좌표에 의해 정렬됩니다.
예:
정렬[{3,
2, 1}] 은 {1, 2,
3}을 나타냅니다..
정렬[{"pears",
"apples", "figs"}] 은 알파벳 순서로 리스트의 원소를 배열합니다.
정렬[{(3,
2), (2, 5), (4, 1)}] 은 {(2, 5), (3, 2), (4, 1)}을 나타냅니다.
합[리스트]:
모든 리스트 원소의 합을 계산합니다.
주:
이 명령은 수, 점, 벡터, 텍스트, 함수에 대해 작동합니다.
예:
합[{1, 2,
3}] 은 숫자 a = 6을 나타냅니다.
합[{x^2,
x^3}] 은 f(x)=x2 + x3 을 나타냅니다.
합[수열[i,i,1,100]]
은 숫자 a = 5050 을 나타냅니다.
합[{(1,
2), (2, 3)}] 은 점 A = (3, 5) 을 나타냅니다.
합[{(1,
2), 3}] 은 점 B = (4, 2) 을 나타냅니다.
합[{"a","b","c"}]
은 텍스트 "abc" 을 나타냅니다.
합[리스트, 원소의 개수 n]:
리스트에서 처음 n개의 원소의 합을 계산합니다.
주: 이 명령은 수,
점, 벡터, 텍스트, 함수에 대해 작동합니다.
예:
합[{1,
2, 3, 4, 5, 6}, 4] 은 숫자 a = 10 을 나타냅니다.
추출[리스트, 시작 위치 m, 끝 위치 n]: 위치 m에서 n까지 리스트의 원소를 포함하는 새로운 리스트를 나타냅니다.
합집합[리스트 1, 리스트 2]: 두 리스트에서 여러 번 겹쳐 나오는 원소는 제거하고 리스트를 연결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