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수화[수]: 기하창에 수를 (LaTeX) 텍스트 대상으로 나타나는 분수로 나타냅니다. 예: a: y = 1.5 x + 2 일 때, 분수화[기울기[a]] 는 텍스트인 3/2 으로 나타냅니다.
수식[대상]: 대상의 수식을 LaTeX
텍스트로 나타냅니다.
예:
a = 2 와 f(x) = a x2일 때, LaTeX[f]은 2 x2 을 나타냅니다. (LaTeX 텍스트)
수식[대상, 진리값]:
대상을 LaTeX 텍스트로 나타냅니다. 진리값 변수는 값이 참(true)이면 값을 변수로 대체하고, 거짓(false)이면 변수 이름을 텍스트로 나타납니다.
예:
a = 2 와 f(x) = a x2일 때,
수식[f,
true] 이면 2 x2 이고, (LaTeX 텍스트)
수식[f,
false] 이면 a x2 이다. (LaTeX 텍스트)
유니코드 ["글자"]:
한 글자를 유니코드 숫자로 바꾸어줍니다.
주:
글자는 따옴표로 둘러싸야 합니다.
예:
유니코드화["a"]
는 숫자 97을 나타냅니다.
이름[대상]: 기하창에 대상의 이름을 텍스트로 나타냅니다.
주:
새로 이름을 붙일 수 있는 대상의 바꿀 수 있는 텍스트에서 이 명령을 사용하세요. 이름 명령은 대상 명령에 반대되는 명령입니다.
대상[텍스트로 된 대상의 이름]: (고정되었든 바꿀 수 있든) 텍스트로 되어 있는 대상의 이름을 나타냅니다. 그 결과는 항상 의존하는 대상입니다.
주:
대상 명령은 이름 명령에 반대되는 명령입니다.
예:
점 A1, A2, ... , A20 이고, 슬라이더 n = 2일 때,
대상["A"
+ n] 은 A2의 복사본을 나타냅니다.
표[리스트 1, 리스트 2, 리스트 3,...]:
리스트 대상의 표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만듭니다.
주:
기본 설정으로, 모든 리스트는 표의 새로운 열을 나타냅니다.
예:
·
표[{x^2,
4}, {x^3, 8}, {x^4, 16}] 는 3행 2열의 텍스트로 인식되는 표를 만듭니다. 표의 모든 항목은 왼쪽 정렬됩니다.
·
표[수열[i^2,
i, 1, 10]] 는 1행의 텍스트로 인식되는 표를 만듭니다. 표의 모든 항목은 왼쪽 정렬됩니다.
표[List 1, List 2, List 3,..., "텍스트 정렬값"]:
리스트 대상의 표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만듭니다. “텍스트 정렬”을 하는 선택사항 텍스트는 방향과 표의 정렬을 조정합니다.
주:
가능한 값은 "vl",
"vc", "vr", "v", "h", "hl",
"hc", "hr"입니다. 기본 설정은 "hl"입니다.
"v"
= 수직, 예. 리스트가 열이 됩니다.
"h" = 수평,
예. 리스트가 행이 됩니다.
"l" = 왼쪽 정렬
"r" = 오른쪽 정렬
"c" = 가운데 정렬
예:
· 표[{1,2,3,4},{1,4,9,16},"v"] 는 4행 2열의 텍스트로 인식되는 표를 만들며 항목들은 왼쪽 정렬됩니다.
· 표[{1,2,3,4},{1,4,9,16},"h"] 는 2행 4열의 텍스트로 인식되는 표를 만들며 항목들은 왼쪽 정렬됩니다.
· 표[{11.2,123.1,32423.9,"234.0"},"vr"] 는 1열의 텍스트로 인식되는 표를 만들며 항목들은 오른쪽 정렬됩니다.
텍스트[대상]: 대상의 수식을 텍스트로 나타냅니다.
주:
기본 설정으로, 변수를 값으로 대체합니다.
예:
a = 2 와 c = a2일 때, 텍스트[c]는 텍스트 "4"를 나타냅니다.
텍스트[대상, 진리값]:
대상의 수식을 텍스트로 나타냅니다. 진리값 변수는 참(true)이면 변수를 값으로 대체하고, 거짓(false)는 변수 이름을 텍스트로 나타냅니다.
예:
a = 2 와 c = a2일 때,
텍스트[c,
true] 는 텍스트 "4"로 나타냅니다.
텍스트[c,
false] 는 텍스트 "a2"로 나타냅니다.
텍스트[대상, 점]: 주어진 점의 위치에서 대상의 수식을 나타냅니다.
예:
텍스트["hello",
(2, 3)] 는 (2, 3) 위치에 텍스트를 나타냅니다.
텍스트[대상, 점, 진리값]: 주어진 점의 위치에서 대상의 수식을 나타냅니다. 진리값 변수는 참(true)이면 변수를 값으로 대체하고, 거짓(false)는 변수 이름을 텍스트로 나타냅니다.
유니코드화["텍스트"]:
텍스트를 글자마다 유니코드 숫자의 리스트로 바꾸어줍니다.
예:
유니코드화["Some
text"] 는 유니코드 숫자의 리스트 {83, 111, 109, 101, 32, 116,
101, 120, 116}.
text1 이 "hello"이면, 유니코드화[text1]
는 리스트 {104,
101, 108, 108, 111}를 나타냅니다.
글자화[정수]: 정수로 된 유니코드 숫자를 글자로 바꾸어 기하창에서 텍스트가 나타나게 합니다.
예:
글자화[97]
는 텍스트 "a"를 나타냅니다..
텍스트화[정수의 리스트]:
정수로 된 유니코드 숫자를 텍스트로 바꾸어줍니다.
예:
텍스트화[{104,
101, 108, 108, 111}] 는 "hello"를 나타냅니다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