진리값 명령인 조건을 사용하여 조건이 있는 함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.
주: 조건이 있는 함수에 대하여 도함수나 적분을 구할 수 있으며, “보통의” 함수에 대하여 교점을 구할 수 있습니다.
예:
f(x)
= 조건[x < 3,
sin(x), x^2] 은 x < 3 에 대해서는 sin(x)이고, x ≥ 3에 대해서는 x2입니다.
a ≟ 3 ∧ b ≥ 0 는 “a는 3과 같고 b는 0보다 크거나 같은지”를 검사합니다.
주: 조건을 기술하기 위한 기호(예. ≟, ∧, ≥)는 입력창 옆의 가장 왼편에 있는 드롭다운 메뉴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.
도함수[함수]: 함수의 도함수를 나타냅니다.
도함수[함수, 수 n]: 함수의 n번째 도함수를 나타냅니다.
주: 도함수[f] 대신 f'(x)을 사용할 수 있으며, 도함수[f, 2] 대신 f''(x)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전개[함수]: 괄호가 있는 식을 전개합니다.
예:
전개[(x + 3)(x
- 4)]는 f(x) = x2 - x
– 12를 나타냅니다.
인수분해[다항식]:
다항식을 인수분해합니다.
예:
인수분해[x^2 + x - 6]는 f(x) = (x-2)(x+3)를 나타냅니다.
함수[함수 f, 수 a, 수 b]: 구간 [a, b]에서는 f와 같고, [a, b]
밖에서는 정의되지 않는 함수를 나타냅니다.
주:
이 명령은 구간 안에서만 보여주기 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.
예:
f(x)
= 함수[x^2,
-1, 1]는 구간 [-1, 1]에서 함수 x2의 그래프를 나타냅니다. 만일 g(x) = 2 f(x)라고 입력하면 g(x) = 2 x2이 되며 구간 [-1, 1]에 제한되지는 않습니다.
적분[함수]: 함수의 부정적분을 나타냅니다.
주: 정적분을 보세요.
다항식[함수]: 다항식 함수를 전개합니다.
예:
다항식[(x - 3)^2]은 x2 - 6x + 9을 나타냅니다.
다항식[n개의 점의 리스트]: 주어진 n개의 점을 지나는 차수 n-1인 보간다항식을 만듭니다.
정리[함수]: 주어진 함수의 항을 간단히 정리합니다.
예:
정리[x + x
+ x]는 함수 f(x) = 3x를 나타냅니다.
정리[sin(x)
/ cos(x)]는 함수 f(x) = tan(x)를 나타냅니다.
정리[-2
sin(x) cos(x)]는 함수 f(x) = sin(-2 x)를 나타냅니다.
테일러전개[함수, 수 a, 수 n]: x = a에서 차수 n인 주어진 함수의 멱급수를 만듭니다.